Nothing/잡다한 정보2007. 4. 13. 11:13

사용자 삽입 이미지

http://www.click2map.com/

Google map 에서 marker를 편집하는 application 마치 desktop프로그램 같습니다.
웹을 통해서 이런식의 사용이 가능하다니, 조금은 놀랍네요.

Posted by Jake Kim
Nothing/잡다한 정보2007. 2. 14. 08:59
자주쓰는 폰트 인데, 항상 어디다 뒀는지 까먹어서 아예 이곳에 올려둠.
관심 있는 분들은 한번이용해 보길..
사용자 삽입 이미지

폰트 이름은 Andale Mono 입니다.
Posted by Jake Kim
Nothing/잡다한 정보2007. 2. 13. 13:30
개인 도메인을 이용한 Gmail 서비스인 Gmail for Your Domain이 개편되었습니다. 새로운 이름은 Google Apps for Your Domain. 접속 주소도 https://www.google.com/hosted/ 에서 https://www.google.com/a/ 로 변경되었습니다. 물론 기존 주소로 접속하셔도 포워딩이 됩니다.

많은 분들이 알고 계시지만 아직 생소해하시는 분들을 위해 잠시 소개드리면 Google Apps for Your Domain은 자신이 소유한 개인 도메인을 이용해 메일, 구글 토크, 일정, 웹페이지 제작1 등을 할 수 있는 서비스입니다. MS에서도 Live 서비스를 통해 도메인 서비스를 하고 있는데 구글과 MS의 개인 도메인 메일 서비스는 Mail for your own domain을 참고하세요.

그럼 Google Apps for Your Domain 서비스를 신청하고 이용하는 법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Google Apps for Your Domain 페이지에 접속을 하면 아래와 같은 화면이 나옵니다. 언어 설정에 따라 영어, 한글 또는 기타 외국어로 나올 수 있습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Gmail, Google Talk, Calendar, Page Creator와 같은 구글 서비스를 나만의 도메인을 이용해 사용할 수 있다고 나와있군요. 여기서 Sign Up Now 라고 되어있는 파란 버튼을 누릅니다. 아래와 같은 로그인 페이지가 나옵니다.
구글 계정이 있다면 아이디와 패스워드를 입력합니다. 아직 계정이 없다면 아래 Create an account now에서 만드시면 됩니다. 로그인을 하면 신청화면으로 넘어갑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구글 계정이 있다면 아이디와 패스워드를 입력합니다. 아직 계정이 없다면 아래 Create an account now에서 만드시면 됩니다. 로그인을 하면 신청화면으로 넘어갑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필요한 정보를 입력하세요. 반드시 사실대로 입력할 필요는 없으나 "Domain" 항목에는 꼭 자신이 보유한 도메인을 입력해야 합니다. 그리고 자신에 대한 정보를 입력하는 부분에서 자신을 'IT 결정권자'라고 체크하시기 바랍니다.
신청을 하면 수시간 후 또는 다음날 승인 메일을 받게 됩니다. 메일을 받고 안내된 주소로 접속하면 관리자 아이디(예, admin)와 비밀번호 입력화면이 나옵니다. 관리자 등록이 끝나면 서비스 설정을 할 수 있는 페이지가 나옵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이용하고자 하는 서비스를 선택하고 셋업 버튼을 누르면 설정 항목을 고르는 페이지가 나오는데 메일 셋팅을 선택하면 아래와 같이 MX record를 수정하라는 안내가 나옵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안내문 제일 아래에 나와 있는 7개의 메일서버 목록을 자신의 MX record에 입력합니다. 도메인등록사를 통해 MX record를 수정할 수 없다면 도메인 네임서버를 DNSever.com이나 ZoneEdit.com으로 변경하고, 이곳의 무료 DNS 서비스를 받으면 해결됩니다.

저는 ZoneEdit에서 제공하는 무료 네임서버를 이용중입니다. ^^

사용자 삽입 이미지
보다 자세한 내용은 ZoneEdit 가입 및 이용법을 읽어보세요.

무료 네임서버를 제공하는 ZoneEdit을 이용한다는 가정하에서 MX 값을 수정하는 방법을 설명하겠습니다. 간단합니다. 아래와 같이 Google에서 알려준 메일서버를 우선순위에 맞게 입력하면 끝입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몇시간 후 모든 모든 정보가 갱신되면 자신이 설정한 이메일 주소를 원활히 이용할 수 있습니다. 자신의 이메일 로그인 주소는 http://mail.google.com/a/domain.com 과 같은 형식이 됩니다. 조금 길죠? 하지만 앞서 말씀드린 무료 DNS 서비스를 이용하면 저 긴 주소를 mail.domain.com 과 같이 짧게 줄일 수 있습니다.

포워딩을 시키기 위해서는 ZoneEdit의 WebForward 항목을 선택합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mail.domain.com 을 http://mail.google.com/a/domain.com 으로 포워딩 시켜주면 됩니다.

그럼 이제부터 ID@domain.com 과 같이 자신의 도메인으로 된 이메일 주소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물론 구글토크와 캘린더도 쓸 수 있구요. 그 뿐이 아닙니다. 자신의 도메인으로 된 이메일 계정을 최소 25개 이상 만들 수 있습니다. 친구에게, 가족에게 맘껏 나눠주세요. 원한다면 자신의 블로그에 이메일 자동 가입 폼을 달 수도 있습니다. 자세한 것은 관리자 페이지에 나와 있습니다^^7

자, 그럼 첫화면이 어떤지 볼까요? 로그인 화면의 로고는 관리자 페이지에서 바꾸실 수 있습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POP3/SMTP도 무료로 제공되니 매번 웹에 접속할 필요없이 메일 프로그램으로 편하게 이메일을 주고 받으세요. 나만의 주소로~!!

* 기존 사용자분들은은 새로 등록된 서비스를 추가할 수 있습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다음부터는 제가 구글 맵을 통해 직접 설절하는 과정입니다.
위 내용은 거의 스크랩 위주라서...

사용자 삽입 이미지

구글 메일 안으로 들어오면 대시 대시 보드라는것이 있습니다.
거기서 메일 설정을 하게 되면 위와 같은 내용이 나오는데, 위에서 나오는 7개의 메일서버를
EditZone 에서 mx에 각각 등록 해두시면 됩니다.
아마도 이미 위의 이미지에서 보셨으리리 생각됩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설정을 마치고 다음 단계에 들어오면 위의 내용을 보게 될꺼에요.
거기서 웹 게시 설정을... 눌러보시기 바람.
사용자 삽입 이미지
설명은 그냥 그림으로 대처하겠음.^^;;

사용자 삽입 이미지

설정을 한후 다음 단계를 온다면 위와 같은 이미지를 보게 될겁니다.
저기서... cname 이라는게 alise 라는 별칭을 뜻합니다. 즉 어떤 주소로 오면 어떤 주소의 내용이 보여질지 정도 랄까요. 계속 해서 설명은 이미지로 대처합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위 이미지는, 구글에서 받아든 주소를 EditZone 에서 별칭으로 등록한 예입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설정을 한후 구글에서 다음을 계속 넘어가면 대충 마무리가 되었다고 나오네요.
그럼 이젠 천천히 시간이나 보내면서 기다리면 되겠죠.-_-;


내용 참고 및 출처 : http://luv4.us/
Posted by Jake Kim
Nothing/잡다한 정보2006. 9. 14. 02:01

하루만에 쓸만한 내용을 두개씩이나 올리긴 처음이군^^
뭐 그저 혼자 쓸모 있다고 생각 하지만요.

혹시 서버를 관리해본 경험이 있다면, SSH 나 TELNET 등을 알것입니다.
물론 윈도우라면 원격지원도 이와 유사하겠죠.
이런 모든 프로그램등은 특정한 포트를 통해 관련 프로그램을 사용함으로써 서버에 접속을 할수 있답니다. 그런데 제가 이번에 소개할 녀석은 웹을 통해 서버를 관리 할 수 있습니다.(왠지 이렇게 말하지 꼭 약장수가 약소개 하는것 같군요.)


Webmin은 오픈소스 라이센스의 서버 관리 프로그램입니다.
Webmin의 특징이라면 자체 웹 서버를 내장하고 있기 때문에 Apache가 죽은 상황에서도 서버 접근이 가능하다는 것과 테마 적용을 통해 디자인 변경이 가능 하다는것, 또한 자바 애플릿이 지원되는 환경에서는 파일 매니져도 사용이 가능 하다고 합니다.

Webmin은 충분히 강력하기 때문에 어느정도 익숙해지기만 하면 위에서 설명한 터미널(SSH,TELNET등)에 접근할 필요가 없어집니다.
주요 프로그램들의 경우 이미 관리 모듈이 존재하고(대충 확인 해본결과 상당수 기본 내장되어 있는듯, 그리고 내장이 안되어 있는 모듈도 몇번에 클릭으로 추가가능함) 이 관리 모듈을 통하면 정말 서버 관리가 편해질듯...

물론 제가 아직 제대로 사용해보지 않았기에 얼마까지 편의를 제공하는지, 그리고 실제로 어느정도 까지 편한지는 제대로 설명하기 힘듭니다. 하지만 같이 올리는 스크린샷을 보시면 어떤 기능이 있는지 예상하실수 있으리라 봅니다.

Posted by Jake Kim
Nothing/잡다한 정보2006. 8. 30. 07:50

쓸만한 정보...
단축키만 잘 사용해도 작업 속도가 2배는 빨라질겁니다.

출처 : http://kin.naver.com/open100/db_detail.php?d1id=11&dir_id=1102&eid=79O1Gk01uar7ZLpq991y4IxL1qSjUvq/&navertc=6&ㅊsm=top_kup

Posted by Jake Ki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