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ML/CSS2010. 5. 28. 11:41

기본적으로 설정 되어 있는 엘리먼트의 padding, margin, outline등의 속성을 없앨때 사용하시면 됩니다.
저 같은 경우는 이렇게 많은 값을 한번에 초기화 하지 않고 필요한 값만 그때 그때 초기화 했었는데... 일단 알아 두면 차후 도움은 될듯합니다.

/* v1.0 | 20080212 */
html, body, div, span, applet, object, iframe, 
h1, h2, h3, h4, h5, h6, p, blockquote, pre, 
a, abbr, acronym, address, big, cite, code, 
del, dfn, em, font, img, ins, kbd, q, s, samp, 
small, strike, strong, sub, sup, tt, var, 
b, u, i, center, 
dl, dt, dd, ol, ul, li, 
fieldset, form, label, legend, 
table, caption, tbody, tfoot, thead, tr, th, td {
    margin: 0; 
    padding: 0; 
    border: 0; 
    outline: 0; 
    font-size: 100%; 
    vertical-align: baseline; 
    background: transparent; 
} /* *{margin:0; padding:0;}은 모든 요소에 상속이 되어 컨텐츠가 많은 경우 속도가 느려진다고 합니다 */ 
body { 
    line-height: 1; 
} /* 필요한 경우 적절하게 line-height를 조정하면 될 것 같습니다 */ 
ol, ul { 
    list-style: none; 
} /* 대부분의 리스트를 리스트 스타일을 제거하고 bullet은 백그라운드 이미지로 처리하는 경우 필요합니다 */ 
blockquote, q { 
    quotes: none; 
} 
blockquote:before, blockquote:after, 
q:before, q:after { 
    content: ''; 
    content: none; 
} /* 인용구 태그의 앞뒤를 정리하는데 쓰입니다. */ 

/* remember to define focus styles! */ 
:focus { 
    outline: 0; 
} /* 이 속성을 쓰면 개체에 포커스가 간 경우 outline이 안 보이기 때문에 저는 지우고 사용합니다. */ 

/* remember to highlight inserts somehow! */ 
ins { 
    text-decoration: none; 
} /* ins 태그는 중간에 삽입된 개체에 대해 씁니다. 기본값은 underline이기 때문에 필요한 정도로 수정하여 쓰면 됩니다 */ 
del { 
    text-decoration: line-through; 
} /* del 태그는 중간에 삭제된 개체에 대해 씁니다. */ 

/* tables still need 'cellspacing="0"' in the markup */ 
table { 
    border-collapse: collapse; 
    border-spacing: 0; 
} 
Posted by Jake Kim